인공지능(4)
-
챗GPT 앱 국내서 300만명 넘게 쓴다…20·30대가 절반
미국 오픈AI의 생성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인 ‘챗GPT’의 모바일 앱 국내 이용자 수가 300만명을 넘겼다. 20·30대가 이용자의 절반을 넘겼다.11일 앱 시장조사업체인 와이즈앱에 따르면 챗GPT 모바일 앱의 국내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지난달 315만명을 기록했다. 전월 235만명보다 34% 증가했다. 오픈AI는 지난해 5월 아이폰(iOS)용 앱을, 7월 안드로이드용 앱을 각각 출시했다. 챗GPT 앱의 국내 MAU는 지난해 8월 46만명에서 12월 147만명으로 네 달 만에 3배가 됐다. 지난 3월엔 211만명으로 200만명대를 넘겼다.챗GPT 앱을 가장 많이 쓰는 연령대는 20대로 지난달 MAU 중 28.6%를 차지했다. 30대(23.4%), 40대(20.8%), 10대(14%), ..
2024.06.11 -
“한달에 1000만원 벌어볼까”…
생성형 인공지능(AI)은 크리에이터(창작자) 생태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고 있을까요. 최근 정보기술(IT) 업계에서는 누구나 아이디어만 있으면 손쉽게 ‘킬러 콘텐츠(고품질 영상)’을 만들 수 있는 시대가 눈앞에 다가왔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특히 영화, 드라마, 광고 등 제작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들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제작에 엄두를 내기 어려웠던 영역에서 유의미한 기술 혁신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생성형 AI는 사용자와 자연어로 소통하며 스토리 개요, 보고서 등 텍스트부터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와 같은 멀티모달 콘텐츠에 이르기까지 완전히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의미합니다. 특히 올해는 AI가 텍스트 기반 채팅을 넘어 음성, 비디오까지 통달하는 멀티모달 모델로 완전히 대중화되는 원년이..
2024.03.31 -
AI가 이끄는 원전 ‘新르네상스’
재 건설 중이거나 계획된 세계 원전 100기… 우라늄 가격도 고공 행진 원자력발전 역사엔 크게 두 번의 브레이크가 있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스리마일아일랜드 원전 사고(1979)와 옛 소련의 체르노빌 원전 사고(1986)다. 이 두 사고는 원전 건설 붐에 찬물을 끼얹었다. 2000년대 들어 지구온난화로 기상이변이 잇따르자 각국은 기후변화에 대응할 청정에너지인 원전을 건설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원전 르네상스’ 시대가 오는 듯했지만,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서 국제사회에는 다시금 탈원전 바람이 불었다. 심지어 일부 국가는 여론 악화 등으로 원전을 축소 또는 폐기하기도 했다. 2025년 원전 사상 최대 규모 전망 2025년 원전 사상 최대 규모 전망러시아가 2022..
2024.02.22 -
2년 만에 돌아온 '공신' 강성태…"공부 안 해도 된다"
'공부의 신'으로 불린 입시전문가 강성태가 돌연 공부가 필요 없는 세상이 올 것이라는 주장을 해 화제입니다. 강성태는 약 2년간 온라인상에서 자취를 감췄다가 지난 달 29일 유튜브 채널 영상을 통해 복귀 소식을 알린 바 있습니다. 당시 올렸던 영상에서 강성태는 "그동안 얻게 된 굉장히 귀중한 깨달음이 있어서 여러분과 나누고 싶었다"면서 "향후 한 십여 년 정도 시간 동안 인류에게 정말 큰 고통의 시간이 찾아올 것 같다. 인공지능이나 로봇을 통해 이제 모든 것이 대체되면서 일자리를 포함한 기회들이 영원히 사라지는 순서를 겪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지난 14일에는 '공부도, 일도 안 해도 되는 세상이 곧 옵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는데, 해당 영상에서 강성태는 처음 챗GPT를 사용했을 때 자..
2024.01.29